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footer 바로가기

대학발전전략

DDU Vision 2024

기존 대덕대학교 비전 Statement를 Review한 결과, ‘미래를 선도하는 융복합 실무인재 양성대학’ 으로 변경함

대덕대학교 Vision 2024 : 미래를 선도하는 융복합 실무인재 양성대학
[대덕대학교 신 버전 의미]
  • 미래를 선도 4차 산업혁명으로 대비되는 미래 변화 트렌드와 지역사회 및 정부정책에 부합하는 학사제도 및 교육과정 혁신을 통해 미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의미
  • 융복합 대학의 교육내용과 방법, 제도 및 인프라와 관련하여 학과 간, 학문 분야간 융복합 혁신체계를 갖추어 융복합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의미
  • 실무인재 대전에 소재한 지역 전문대학으로서 지역사회 및 산업체에 필요한 중견직업인을 양성하기 위해 교육운영 체계를 실무의 연계하도록 혁신하겠다는 의미

대덕대학교 가치체계

대덕대학교 가치체계는 미션체계(건학정신, 설립목적, 교육이념, 교육목표, 학훈, 인재상 등)와 비전체계 (비전, 슬로건, 발전목표, 경영철학, 핵심가치 등)로 구성함.
미션 체계
  • 건학정신 애국 애족 정신을 확립하고 사대주의 사상을 배격하며 수신제가 구국제민의 건실한 능력과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에 투철한 품성을 도야하여 진실한 근로 문화인으로서 의타심을 근절하고 자주정신을 견지하여 자활 기능이 있는 문화 민족을 융성함에 있다.
  • 설립목적 애본 대학은 대한민국 교육의 근본이념에 입각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이론을 교수 연구하고 재능을 연마하여 국가 사회 발전에 필요한 중견직업인을 양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 교육이념 건학정신을 바탕으로 비판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능력을 갖춘 지식인, 창의적이고 생산적으로 열심히 일하는 근로인, 그리고 올바른 도덕관을 지닌 선량한 시민을 육성한다.
  • 교육목표 건학정신을 기저로 올바른 인격을 함양하고 국가산업사회 발전에 기여할 전문적인 지식과 자활능력이 있는 중견 직업인을 양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 학훈(교훈) 새롭게 생각하며 살자 / 정직하게 살자 / 열심히 일하며 살자 / 이웃과 더불어 살자
  • 인재상(BIG 人) 신뢰할 수 있는 성실한 人재 (Belief Confidence) / 창의력 상상력이 풍부한 人재 (Imagination) / 실무능력이 우수한 글로컬 人재 (Global expert)
비전 체계
  • 비전, 슬로건, 발전목표 미래를 선도하는 융복합 실무인재 양성대학_ Begin BIG 人 (Korea Top 20 by 2024)
  • 경영철학 학생이 행복한 대학, 미래가 열리는 대학
  • 핵심가치 소통과 화합, 변화와 혁신

발전 로드맵

대덕대학교는 2024년 “미래를 선도하는 융복합 실무인재 양성대학” 이라는 중장기 목표(비전)를 수립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에서 20위권 교육 및 산학협력 선도 대학이 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이 로드맵을 설정함
교육 및 산학협력 체계 혁신 기반 마련 - 2019년 중장기 발전계획 수정 전략목표 설정,  교육 및 산학협력 체계 혁신 지속 시행 -  2022년 지속적인 융복합 실무인재 양성 및 교육혁신,  교육 및 산학협력 선도 대학 (Korea Top 20 by 2024) 2024년 미래를 선도하는융복합 실무인재 양성대학

중장기 경영목표

중장기 경영목표는 기존의 지표를 유지하되, 성과 목표를 타 대학 수준 및 달성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함.

[중장기 목표 설정]

주요지표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신입생 충원
  • 93%
  • 94%
  • 96%
  • 98%
  • 100%
  • 100%
정원내 재학생 충원률
  • 90%
  • 92%
  • 94%
  • 96%
  • 98%
  • 100%
취업률
  • 69.1%
  • 70.1%
  • 71.1%
  • 72.1%
  • 73.1%
  • 74.1%
전임교원 확보율
  • 53%
  • 55%
  • 57%
  • 59%
  • 61%
  • 63%
산학협력 수익률
  • 10%
  • 15%
  • 20%
  • 25%
  • 30%
  • 30%
교육비 환원율
  • 175%
  • 176%
  • 177%
  • 178%
  • 179%
  • 180%
등록금 의존율
  • 60%
  • 60%
  • 60%
  • 60%
  • 60%
  • 60%
구성원/산업체만족도
  • 80%
  • 80%
  • 80%
  • 80%
  • 80%
  • 80%

DDU VISION 2024 전략체계표

대덕대학교 New Vision 전략체계를 DDU Vision 2024로 명명하며, 비전, 발전목표, 전략방향, 전략과제, 세부 실행과제 등을 포함함.
  • Vision 슬로건
  • 발전목표
  • 경영철학
미래를 선도하는 융복합 실무인재 양성대학 Begin BIG 人(Korea Top 20 by 2024)
핵심가치
  • 학생이 행복한 대학, 미래가 열리는 대학
  • 소통, 화합, 변화, 혁신
경영목표
신입생 충원율,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100%, 졸업생 취업률 74.1%, 전임교원 확보율 63% 산학협력 수익률 30%, 교육비 환원율 180%, 등록금 의존율 60%, 구성원/산업체 만족도 80점
5대 발전전략 (I Can Do)
  • 교육시스템 혁신
  • 지역협력 네트워크 강화
  • 학생지원 체계 고도화
  • 글로벌 역량 확대
  • 수요자 중심의 경영시스템 구축
17대 전략과제
  • 교육과정 혁신
  • 산학협력 인프라 지원강화
  • 재학생 교육환경 및 정주환경개선
  • 외국인 학생 모집 및 관리 강화
  • 대학 입시 및 홍보 기능 강화
  • 창의 기반 교수학습법 제공
  • 산학연계교육시스템지원강화
  • 취창업 지원정주환경개선
  • 재학생 글로벌 역량강화
  • 대학 운영 지원 체계 강화
  • 학사제도 혁신
  • 지역사회협력프로그램운영강화
  • 학생 진로·심리 상담지원 강화
  • 대학 재정 확대
  • 교육의 질 제고
  • 학생지원시스템고도화
  • 교원·직원 역량강화
50개 실행과제
  • 14개 실행과제
  • 8개 실행과제
  • 14개 실행과제
  • 4개 실행과제
  • 10개 실행과제
대학 혁신과제 영역

세부실행과제

신규 실행과제 도출 및 기존 실행과제 Rolling의 Process를 거쳐 최종 전략과제 및 실행과제를 제시함.

I. 교육시스템 혁신(Innovating Education System)

1.교육시스템 혁신
전략과제 세부실행과제 정의
교육과정 혁신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직업기초 및 교양 교육과정 개발 및 개선체계 운영 핵심역량을 마련하고 진단함으로써 재학생의 부족역량을 파악하고 교양 교과목을 연계, 운영하고자 함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핵심역량 설정에 따른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선, 보완, 제거 등을 추진하고자 함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 인재 양성(SW교육) 전 재학생들에게 SW 교육을 통한 수평적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강점을 갖출 수 있는 SW 역량을 제고하고자 함
전공능력 배양을 위한 전공교육과정 개발 및 개선체계 운영 재학생들에게 산업체 및 산업 트렌드에 부합하는 전공능력을 배양하도록 하기 위해 전공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체계(절차, 업무분장 등)를 구체화 함
미래수요 맞춤형 창의융합전공(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전공별 수행하기 어려우나, 미래수요에 맞춤형으로 전공 교과목을 운영하고자 타 전공(혹은 타 트랙)과의 융합전공(혹은 융합 교육과정)을 제공하고자 함
학습자 주도 창의융합 학습 확대
(이러닝, 플립러닝, K-MOOC 등)
재학생들에게 학습자 주도 창의융합 학습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K-MOOC나 LMS를 활용한 플립러닝 등의 교육방법을 제공하고자함(필요시 원격수업에 의한 학점부여,PBL 교육과정과 연계)
창의 기반 교수 학습법 제공 수업관리 내실화 및 엄정한 학점관리 재학생의 출결관리 및 학점관리 체계를 엄정하고 투명하게 관리하고자 함
학습자 주도 창의융합 교수 학습법 확산 학사제도 및 교육방법 변화에 따라 교수에게는 교수(teaching)법을, 학생들에게는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학습자 주도 창의융합 학습법을 제공하고자함
학사제도 혁신 학사제도 유연화 지원체제 구축 현장실습, 학생 창업, 학습경험인정 등 다양한 사회수요 기반의 다학기제, 모듈형학기제 등 도입 모색
한국형 나노디그리 교육과정 및 교육체제 도입
(경험학습 인정제도와 연계)
대덕형 나노디그리 도입방안 마련(예, 학과별 트랙 운영 -> 타 학과에서 트랙 이수에 따른 써티 제공)
다학기(모듈형) 유연학기제 도입 현장실습, 학생 창업, 학습경험인정 등 다양한 사회수요 기반의 다학기제, 모듈형학기제 등 도입 시행
집중이수학기제 도입 신입생 동기부여학기제나 방학 등을 활용한 집중이수제도 도입 연구 및 시행
교육의 질 제고 학과 및 부서 평가제도 구축 학과 경쟁력 평가 고도화 및 행정부서 평가제도 운영
학과 및 대학 교육의 질 관리체계 운영 만족도 조사, 강의평가, CQI 보고서 등 교육 요구사항 수렴 결과에 기반한 CQI 제도 운영

II. 지역협력 네트워크 강화(Cooperating Local Society & Industry)

2.지역협력 네트워크 강화
전략과제 세부실행과제 정의
산학협력 인프라 지원 강화 산학협력 인프라 고도화 산학협력의 지속 운영 및 성과 제고를 위한 조직, 제도, 공간 등 인프라(시설, 공간, 제도, 인력 등)를 확충하고자 함
산학협력 중장기 발전계획 고도화
(지원체계, 인프라, 모델, 성과관리 체계 등)
LINC+ 사업 수액을 위한 산학협력 중장기 발전계획을 고도화하고자 함
산학연계 교육시스템 지원 강화 학생 현장실습 및 캡스톤디자인 참여인원 확대 재학생들의 현장실습 및 캡스톤디자인 참여인원을 확대하기 위해 전 학과 및 전 재학생 대상 교육과정 운영 및 홍보 (추가하여, 모든 학과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참여 필수화)
창업강좌 참여인원 확대 학과별 창업 강좌 (전공or교양)필수 운영
지역사회 및 기업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지역사회 및 지역산업 대상 통합지원(기술이전, 기술컨설팅 등)을 위한 기업Dr.플랫폼(연구소, 지자체 등 연계) 구축 및 운영
비즈니스 모델과 연계된 교육과정 편성·운영 계획 산학협력 비즈니스 모델과 연계하여 신산업분야 수행능력 함양을 위한 실무능력 향상 전공교육 프로그램 운영
주문식 교육과정 연계 취업 강화 주문식 교육, 협약학과 확대
지역사회 협력 프로그램 운영 강화 산업체 종사자 및 퇴직자 대상 장단기 교육프로그램 개설 및 운영 대전 등 지역사회 특성에 따라 대학 내 역량에 기반하여 산업체 종사자 및 퇴직자 대상 후진학 교육 프로그램 개설 및 운영

III. 학생지원 체계 고도화 (Advancing Student Competence)

3.학생지원 체계 고도화
전략과제 세부실행과제 정의
재학생 교육환경 및 정주환경 개선 현장 미러형 실험·실습 환경 지원 강화 실습 교과목 운영에 있어 현장과 연계된 공간 및 기자재를 제공하여 현장실습 및 취업 활동을 지원하도록 함
첨단 교육연구기자재 확충 교육 및 연구(산학협력 포함)를 시행함에 있어 고객 편의의 첨단화된 교육연구기자재를 확충하여 제공하고자 함
학생 편의 및 정주환경 개선 학생들에게 편의 및 정주환경에 대한 만족도 제고를 위해 개선하고자 함
취창업 지원 체계 강화 취·창업 지원 체계 구축 및 지속적 개선 학생들에게 취·창업 지원을 위한 체계(지원 규정, 조직, 인력, 방법 등)를 갖추고 지속적으로 개선하고자 함
HRD 체제 활성화를 통한 취업역량 강화 학생 개인 별 커리어로드맵을 마련토록 하고, 이력관리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이력관리 및 취업 역량을 제공하고자 함
기업 현장교육(실습) 내실화 과별 현장교육 및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보다 내실화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함
실습학기제 트랙 운영 다양화(취업, 창업, 인바운드 실습) 실습학기제 트랙을 운영함으로써 취업, 창업, 인바운드 실습, 현장실습 등을 위한 제도를 구축하고자 함
창업교육 내실화를 통한 기업가 정신 고취
(교과목, 동아리, 비교과 프로그램)
학생 창업을 확대하기 위해 기업가 정신 교과목을 운영하고, 창업 관련 컨설팅 및 특강, 선배와의 만남 등의 교육방법(교과목, 동아리, 비교과 등 연계)을 도입하고자 함
학생 맞춤형 창업프로그램 운영(창업 펀드, 보육센터 연계 등) 재학생의 실질적 창업을 확대하기 위한 지원 체계를 운영하고자 함
학생 진로·심리 상담 지원 강화 학생 유형별 맞춤형 진로·심리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성별, 학년별, 기숙사 거주별, 학과별 등 학생 유형에 적합한 진로·심리상담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함
진로·심리 상담 지원 체계 구축 및 전문성 강화 진로·심리상담 지원 조직 및 인력의 전문성을 제고함
장애학생 및 소수집단 학생 지원 강화 소수학생(장애학생, 탈북학생, 다문화학생, 조손학생 등)을 위한 지원 조직 및 방안을 마련함
학생 지원시스템 고도화 스마트 행정정보시스템 개발 및 운영 행정정보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차세대 통합행정정보시스템을 도입, 운영하고자 함
학생이력관리시스템 구축 및 지능형 학습분석 서비스 도입 학생이력관리시스템 운영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학습분석 서비스를 도입하고자 함

IV. 글로벌 역량 확대 (Navigating Global Power), V. 수요자 중심의 경영시스템 구축 (Doing for Customer Needs)

4.글로벌 역량 확대, 5.수요자 중심의 경영시스템 구축
전략과제 세부실행과제 정의
외국인 학생 모집 및 관리 강화 외국인 유학생 모집 기반 구축 외국인 유학생 모집 확대를 위해 글로벌 역량을 제고하고 외국인 유학생 모집 확대를 위한 체계(조직, 규정, 인력, 정책 등)를 개선하고자 함
외국인 학생 관리 체계 구축 외국인 유학생이 국내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교내외에서 교육, 여가활동 등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및 관리를 위한 체계(규정, 조직, 시설) 등을 갖추고자 함
글로벌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인바운드 - 영어수업, 외국인 전용 수업 등)
외국인 유학생 대상 1)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2) 영어 강좌, 3) 외국인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 등을 운영하고자 함
재학생 글로벌 역량 강화 재학생 글로벌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외국어 교육 필수화, 해외 현장실습 및 취업 프로그램 운영)
재학생들에게 글로벌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교내 교육 프로그램 및 해외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자 함
대학 입시 및 홍보 기능 강화 지역 및 우수 인재 모집 확대를 위한 전형 개발 대전을 포함한 충청권 지역 내 우수인재 모집을 확대하고, 입시지원율 및 신입생충원율을 제고하기 위한 전형 및 입시홍보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최적의 대학 및 입시 홍보 체계 구축 및 시행 지역사회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대학의 좋은 이미지를 홍보하기 위해 대학 및 입시 관련 홍보 체계(조직, 방법, 규정 등)를 구성하고자 함
대학 운영 지원 체계 강화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연계 대학 특성화 추진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및 특성화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하고자 함
학사구조 개편 및 특성화계열 집중도 확대 학과 경쟁력 분석에 기반한 학사구조 개편을 시행하고 잔여 입학정원은 특성화 계열 학과에 집중 혹은 신설하고자 함
행정조직 혁신 및 제도 정비 교육혁신을 주도할 행정조직을 마련하여 업무분장을 하고자 함
지속적 교육 수요자 만족도 및 강의평가 관리 재학생, 졸업생, 산업체, 지역사회, 학부모 등에 대한 만족도 조사와 강의평가를 주기적으로 시행하고자 함
지역사회 협력 프로그램 운영 강화 산업체 종사자 및 퇴직자 대상 장단기 교육프로그램 개설 및 운영 대전 등 지역사회 특성에 따라 대학 내 역량에 기반하여 산업체 종사자 및 퇴직자 대상 후진학 교육 프로그램 개설 및 운영
대학 재정 확대 재정수입 확보 다양화 산학협력 수익, 정부재정지원사업 수액, 외부연구비 확대 등 재정수입 확보 다양화 방안 마련 및 시행하고자 함
대학 재정 운영의 적절성 확보 대학 재정의 지속적 추계 및 적절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함(예, 등록금 대비 보수 비중 확대 추이 / 강사법 시행 등 --> 보수 규모 안정화)
교원·직원 역량강화 미래수요 맞춤형 교직원 전공 및 직무역량 강화 교수 전공 및 직무 역량 제고를 위한 현장견학, 현장교육 등 지원하고자 함
교직원 업무역량 강화 및 전문성 제고 직원의 업무수행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 토론회, 제안제도, 연구회 등을 지원하고자 함

특성화 전략

대덕대학교 특성화 계획 고도화를 위하여 특성화 현황분석, 특성화 분야선정, 특성화 전략수립의 3단계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최종 선정을 위한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의 순으로 진행하여, IMC 학문분야 특성화를 도출함

[대덕대학교 특성화 전략체계 Process]

특성화 분야선정 절차
대학여건분석
  • 특성화 개념 및 정책
  • 특성화 사례 분석
  • 특성화 현황 검토
대덕대 내부현황:
군사학부 특성화, 지역산업맞춤형인재양성, 교내특성화, LINC+ 사회 맞춤형 인재양성
대학여건분석
  • 미래 유망산업
  • 정부 육성산업
미래유망/정부육성: 기계, 공공복지산업 반도체/디스플레이, 자동차, ICT, 소재, 에너지, 바이오생명, 문화콘텐츠, 6차산업
지역산업분석
  • 지역 육성분야
  • 지역 인력수요
충남지역 :바이오식품, 친환경 자동차부품, 차세대 디스플레이 대전지역 : 바이오 기능성 소재, 로봇 지능화, 무선통신 융합
인력수요전망
  • 중장기 수요전망
  • 직업 수요전망
  • 전문대학 전공별 수요전망
중장기 수요전망
①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②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③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순서
특성화 전략 재구조화
  • 특성화 재정립
  • 특성화 마스터플랜 수립
  • 이해 관계자 의견수렴
대덕대 내부현황:
군사학부 특성화, 지역산업맞춤형인재양성, 교내특성화, LINC+ 사회맞춤형 인재양성
대덕대학교 대내외 여건분석을 통해 IMC 학문분야 특성화를 도출함

*IMC : ICT/Tech (ICT 기술융·복합형), Millitary (기존 군사 특성화 분야 고도화형), Culture (관광/예술/문화 융·복합형)

[학문분야 특성화]

특성화 분야 매력도 분석과 대덕대학교의 내부 여건을 고려하여 특성화 분야를 아래와 같이 재정립하여 3개의 분야(IMC 학문분야)로 선정하였으며, 향후 체계적인 평가와 지속적인 지원 체계를 마련하여 성공적인 특성화 체계를 구축해 나가야함
ICT/Tech 융합 특성화
  • 기계시설과
  • 자동차학과
  • 전기과
  • 반도체자동화과
  • 컴퓨터공학과
  • 정밀기계공학과
  • 컴퓨터정보학과
대학선도
Millitary (군사) 특성화
  • 국방물자과
  • 국방탄약과
  • 방공유도무기과
  • 전투부사관과
  • 총포광학과
  • 특전부사관과
  • 해양기술부사관과
지속적 지원
IMC 학문분야 특성화
체계적 평가
Culture (관광/예술/문화) 특성화
  • 모델과
  • 뷰티과
  • 호텔외식서비스과
  • 항공서비스과
  • 호텔외식조리과
KEY FINDINGS
  • 1.특성화 분야를 선도산업분야 융·복합형(ICT/Tech 융합), 기존 특성화 분야 고도화형(군사), 융·복합형(관광/예술/문화)3개의 분야로 선정함
  • 2.선도산업분야 융·복합형과 기존 특성화 분야 고도화형은 가용자원의 높은 수준을 활용하고, 미래 유망분야에 대한 특성화 범위를 넓게 하여 전방위적인 특성화 전략으로 활용함
  • 3.관광/예술/문화 특성화는 잠재력 있는 분야들들을 융·복합하여 지속적인 관리와 자원집중으로 새로운 영역의 특성화 방향을 도출함

[대덕대학교 특성화 전략체계]

대덕대학교 특성화 전략체계를 아래와 같이 정의함
  • 대학비전
  • 특성화 비전
미래를 선도하는 융복합 실무인재 양성대학 미래 산업 연계 BIG 人 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 혁신
학문 분야 특성화
  • ICT/Tech 융합 특성화
  • Millitary (군사) 특성화
  • Culture(관광/예술/문화) 특성화
  • 미래산업 기반의 특성화 분야선정 및 지원 강화
  • 특성화 학문분야 정원 집중도 확대
기능
특성화
특성화전략 특성화전략과제
대학 교육시스템 특성화
1. 사회 맞춤형 교육과정 혁신
  • 핵심역량 기반의 교양교육과정 운영
  • 전공능력 배양 위한 전공교육과정 개발/운영
2. 창의적 교수 학습 지원체제 구축
  • 교수법 지원체제 혁신: LMS 구축 및 확산
  • 교수법 참여 교원 확대
  • 학습법 참여 학생 확대
3. 학습법 참여 확생 확대
  • 핵심역량 기반의 교양교육과정 운영
  • 전공능력 배양 위한 전공교육과정 개발/운영
4. 지속적인 교육의 질 개선 체제 운영
  • 핵심역량 기반의 교양교육과정 운영
대학 산학협력 시스템 특성화
5. 미래산업선도인력양성
  • 현장 미러형 실험·실습 환경 지원 강화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 인재양성(SW교육 확대)
6. 창의 인성강화 지역사회 맞춤형 TIM 인력양성
  • 창의·인성강화 사회맞춤형교육모델 확립 및 확산
  • 사회맞춤형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환경 구축
  • 지역산업 활성화를 위한 산학관 협력체계 구축
BIG 人 양성시스템 특성화
7. 학생 취 창업 지원 강화
  • 학생 현장실습 및 캡스톤디자인 참여인원 확대
  • 취· 창업 교과목 운영 확대
8. 학생 진로 · 심리 상담 지원 강화
  • 학생 유형별 맞춤형 진로· 심리상담 프로그램 개발 운영
  • 학생 진로 · 심리 상담 지원 체계 고도화

중장기 재정투자 계획

중장기 재정투자 계획
발전전략 전략과제 세부실행과제 재정투자계획(2019~2024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총합계
DDU Vision 2024 재정투자계획_합계 12,450.50 13,099.0 13,385.6 13,746.0 13,925.0 13,925.0 80,886.3
1. 교육 시스템 혁신 교육 과정 혁신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직업기초
및 교양 교육과정 개발 개선체계 운영
17.0 200.0 250.0 250.0 250.0 250.0 1,217.0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232.0 300.0 350.0 400.0 450.0 500.0 2,232.0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 인재 양성(SW교육) 3.0 50.0 50.0 55.0 55.0 55.0 268.0
전공능력 배양을 위한 전공교육과정 개발 및 개선체계 운영 56.4 600.0 650.0 700.0 750.0 800.0 3,556.4
미래수요 맞춤형 창의융합전공(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3.0 10.0 10.0 20.0 20.0 20.0 83.0
학습자 주도 창의융합 학습확대
(이러닝, 플립러닝, K-MOOC 등)
64.0 80.0 80.0 130.0 130.0 130.0 614.0
창의 기반
교수학습법 제공
수업관리 내실화 및엄정한 학점관리 28.3 15.3 15.3 15.3 15.3 15.3 104.8
학습자 주도 창의융합 교수 학습법 확산 267.0 295.0 295.0 295.0 295.0 295.0 1,742.0
학사제도 혁신 학사제도 유연화 지원체제 구축 47.2 20.0 25.0 25.0 25.0 25.0 167.2
한국형 나노디그리 교육과정 및 교육체제도입
(경험학습인정제 도입과 연계)
3.0 10.0 10.0 15.0 10.0 15.0 63.0
다학기(모듈형) 유연학기제 도입 2.0 50.0 50.0 50.0 50.0 50.0 252.0
집중이수학기제 도입 2.0 41.0 41.0 61.0 41.0 61.0 247.0
교육의 질 제고 학과 및 부서 평가제도 구축 0 5.0 0 5.0 0 5.0 15.0
학과 및 대학 교육의 질 관리체계 운영 25.0 25.0 25.0 35.0 35.0 35.0 180.0
소계 749.90 1,701.30 1,851.30 2,056.30 2,156.30 2,256.30 10,741.40
2. 지역 협력 네트워크 강화 산학협력 인프라 지원 강화 산학협력 인프라 고도화 17.0 200.0 250.0 250.0 250.0 250.0 1,217.0
산학협력 중장기 발전계획 고도화
(지원체계, 인프라, 모델, 성과관리 체계 등)
80.0 80.0 80.0 80.0 80.0 80.0 480.0
산학연계 교육시스템 지원 강화 학생 현장실습 및 캡스톤디자인 참여인원 확대 30.0 50.0 50.0 60.0 60.0 60.0 310.0
창업강좌 참여인원 확대 5.0 11.0 16.0 21.0 26.0 31.0 110.0
지역사회 및 기업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0 0 0 10.0 10.0 10.0 30.0
비즈니스 모델과 연계된 교육과정 편성·운영 계획 2.0 10.0 10.0 10.0 10.0 10.0 52.0
주문식 교육과정 연계 취업 강화 2,042.7 2,069.7 2,069.7 2,069.7 2,069.7 2,069.7 12,391.2
지역사회 협력 프로그램 운영 강화 산업체 종사자 및 퇴직자 대상
장단기 교육프로그램 개설 & 운영
826.1 841.1 851.1 861.1 871.1 881.1 5,131.6
소계 2,988.80 3,064.80 3,079.80 3,114.80 3,129.80 3,144.80 18,522.80
3. 학생 지원 체계 고도화 재학생 교육환경 및 정주환경 개선 현장 미러형 실험·실습 환경 지원 강화 1,196.3 980.3 1,000.3 1,020.3 1,030.0 1,060.0 6,278.2
첨단 교육연구기자재 확충 400.6 420.0 450.0 480.0 500.0 520.0 2,770.6
학생 편의 및 정주환경 개선 3,061.8 3,000.0 2,900.0 2,800.0 2,800.0 2,800.0 17,361.8
취창업 지원 체계 강화 취·창업 지원 체계 구축 및 지속적 개선 305.8 353.8 383.8 413.5 433.5 483.5 2,373.3
HRD 체제 활성화를 통한 취업역량 강화 9.5 10.5 10.5 60.5 60.5 60.5 212.0
기업 현장교육(실습) 내실화 203.0 300.0 350.0 400.0 450.0 500.0 2,203.0
실습학기제 트랙 운영 다양화(취업, 창업, 인바운드 실습) 0 00 0 50.0 50.0 50.0 150.0
창업교육 내실화 통한 기업가 정신 고취
(교과목, 동아리, 비교과)
15.0 16.0 16.0 16.0 16.0 16.0 95.0
학생 맞춤형 창업프로그램 운영
(창업 펀드, 보육센터 연계 등)
10.0 10.0 10.0 10.0 10.0 53.0
학생 진로·심리 상담 지원 강화 학생 유형별 맞춤형 진로·심리상담프로그램 개발·운영 13.8 11.8 12.0 12.0 12.0 12.0 73.6
진로·심리 상담 지원 체계 구축 및 전문성 강화 88.0 42.0 42.0 47.0 47.0 47.0 313.0
장애학생 및 소수집단 학생 지원 강화 19.8 28.0 30.0 30.0 30.0 30.0 167.8
학생 지원 시스템 고도화 스마트 행정정보시스템 개발 및 운영 405.6 300.0 250.0 250.0 250.0 250.0 1,705.6
학생이력관리시스템 구축 및 지능형 학습분석서비스 도입 500.0 203.0 203.0 203.0 203.0 203.0 1,705.6
소계 6,222.20 5,675.10 5,657.30 5,792.00 5,892.00 6,042.00 35,280.90
4. 글로벌 역량 확대 외국인 학생 모집 및 관리 강화 외국인 유학생 모집 기반 구축 0 100.0 200.0 150. 100.0 100.0 650.0
외국인 학생 관리 체계 구축 0 30.0 35.0 38.0 40.0 42.0 185.0
글로벌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인바운드 - 영어수업, 외국인 전용 수업 등) 0 20.0 25.0 28.0 30.0 22.0 135.0
재학생 글로벌 역량 강화 재학생 글로벌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외국어 교육 필수화, 해외 현장실습 및 취업 프로그램 운영) 171.4 173.4 175.4 177.4 171.4 171.4 1,040.4
소계 171.4 323.4 435.4 393.4 341.4 345.4 2,010.4
5. 수요자 중심의 경영 시스템 구축 대학 입시 및 홍보 기능 강화 지역 및 우수 인재 모집 확대를 위한 전형 개발 7.0 7.0 7.0 7.0 7.0 7.0 42.0
최적의 대학 및 입시 홍보 체계 구축 및 시행 1,097.5 1,100.0 1,130.0 1,150.0 1,200.0 1,250.0 6,972.5
대학 운영 지원 체계 강화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연계 대학 특성화 추진 52.7 55.0 57.0 59.0 60.0 61.0 344.7
학사구조 개편 및 특성화계열 집중도 확대 0 5.0 0 5.0 0 5.0 15.0
행정조직 혁신 및 제도 정비 0.9 0.9 0.9 0.9 0.9 0.9 5.4
지속적 교육 수요자 만족도 및 강의평가 관리 25.0 25.0 25.0 25.0 25.0 25.0 150.0
대학 재정 확대 재정수입 확보 다양화 1.4 1.8 2.2 2.6 2.9 3.1 14.0
대학 재정 운영의 적절성 확보 935.4 935.4 935.4 935.4 935.4 935.4 5,612.4
교원·직원 역량강화 미래수요 맞춤형 교직원 전공 및 직무역량 강화 0 30.0 30.0 30.0 30.0 30.0 150.0
교직원 업무역량 강화 및 전문성 제고 66.3 36.3 36.3 36.3 36.3 36.3 247.8
소계 2,168.2 2,196.40 2,223.80 2,251.20 2,297.50 2,353.70 12,411.30
기타 기타 사업관리 및 운영 132.0 138.0 138.0 138.0 138.0 138.0 822.0